유월절과 무교절의 기원과 실상

유월절 절기는 무교절과 함께 시작된다. 해마다 정기적으로 지켜야 할 하나님의 절기는 3차에 걸쳐 7개 절기가 있다.1) 토라2)에는 ‘일년 삼차 곧 무교절과 칠칠절과 초막절’이라고 명시되어 있다.3) 1차에는 유월절과 무교절이 조직되어 있는데, 무교절은 1차 절기의 대표 격이다. 복음서4)의 기자들이 유월절 절기를 ‘무교절의 첫날’, ‘유월절이라 하는 무교절’이라고 기록한 이유는 이 때문이다.5)

유월절은 정월 14일 저녁이며, 다음 날인 정월 15일은 무교절이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노예 생활하던 이집트를 떠나 홍해6)를 건너기까지의 고난을 기억하고 하나님의 권능을 기념하는 절기다.

유월절은 하나님이 이집트에서 노예 생활하던 이스라엘 백성들을 해방하고 파라오와 이집트의 신들을 벌하기 위해 제정한 절기다. 갖가지 재앙에도 파라오가 이스라엘 백성들을 좀처럼 놓아주지 않자, 하나님은 마지막으로 이집트의 모든 장자를 멸하는 재앙을 내리기로 한다. 이스라엘 백성들에게는 그 재앙을 피할 수 있는 방도를 일러주었는데, 그것이 바로 유월절 절기를 지키는 것이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의 명령대로 유월절을 지킨 후 재앙을 무사히 넘기고 이집트를 탈출하는 데 성공한다. 이후 유월절은 이스라엘을 노예 생활하던 이집트에서 구원해낸 일을 기념하는 날로 굳어졌다.

고난을 기억하게 하는 무교병

이집트의 파라오는 이스라엘 민족들을 내보내고 난 후 마음이 변해 최정예 전차부대를 이끌고 이스라엘을 다시 붙잡기 위해 뒤쫓았다. 파라오의 군대가 추격해오는 급박한 상황 속에서 앞에는 홍해가 가로막혀 있었다. 하나님의 권능에 의해 홍해가 갈라지고 이스라엘 민족들은 바다를 육지처럼 건넜다.7) 무교절은 이러한 고난을 잊지 않고 기억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무교절(無酵節, The Feast of Unleavened Bread)은 절기의 이름이 말해주듯 쓴 나물과 함께 ‘고난의 떡’이라 불리는 무교병, 즉 누룩을 넣지 않은 떡을 먹으며 7일 동안 지켰다.8) ‘칠일절’이라고도 한다. 유월절과 무교절에는 집 안이나 주변에 유교병9)과 누룩을 철저히 제거했고 보관하는 것도 금지되었다.10)

하나님의 7개 절기는 구약시대 모세의 행적을 따라 제정되었다. 유월절과 무교절은 신약시대 예수가 그리스도로서 이루었던 구원사역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Departure of the Israelites(이스라엘 백성의 ​출발),데이빗 로버츠. 유월절을 지킨 이스라엘 백성들은 이집트에서 해방되었다.

구약시대 모세를 통해 이스라엘 벡성들이 유월절 절기를 지키고 이집트에서 해방되었던 일, 다음 날 무교절에 라암셋에서 출발하여 홍해를 건너기까지 앞에는 바다가, 뒤에는 이집트 군대가 추격해오는 고난을 당했던 일에 대한 실상은 다음과 같다.

구약시대 모세를 통해 이스라엘 백성들이 유월절을 지키고 종살이하던 이집트에서 해방될 수 있었던 것처럼 예수를 통해 유월절을 지키고 죄의 종살이에서 해방될 수 있었다.

유월절 밤 예수는 제자들과 마지막 만찬을 나누었다. 구약시대 유월절 전통에 따른다면 을 잡아야 했지만 예수는 새로운 방식으로 유월절을 지켰다. 예수는 유월절 떡과 포도주를 가리켜 자신의 살과 피라며 죄를 사하려고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 언약의 피라고 말했다. 이것은 구약시대 모세를 통해 이스라엘 백성들이 유월절을 지키고 종살이하던 이집트에서 해방될 수 있었던 것처럼 예수를 통해 유월절을 지키고 죄의 종살이에서 해방될 수 있음을 실상으로 보여준 것이다.

예수님의 십자가형. 1622년, 제노바에서의 시몽 부에 그림

그날 밤 예수는 겟세마네 동산에서 체포되어 밤새 재판을 받은 끝에 사형을 선고받았다. 그리고 다음 날인 무교절 오전 9시경 십자가에 달린 후 오후 3시경에 운명했다. 이것은 구약시대 이스라엘 백성들이 출애굽하여 홍해를 건너기까지 고난을 당했던 것처럼 무교절에 예수가 십자가에 고난을 당할 것을 실상으로 보여준 것이다. 초기 기독교인들은 신랑을 빼앗길 날에는 금식하라는 가르침대로 무교절 오후 3시까지 예수의 십자가 희생을 되새기며 금식으로 고난에 동참했다.11) 12)


연관 글


2)
히브리어 토라(תּוֹרָה, Torah)는 ‘율법(Law)’이라는 의미다. 모세오경을 지칭하기도 하지만 성경 말씀을 가리키기도 한다.
4)
복음서(福音書, Gospels)는 신약성경의 마태복음, 마가복음, 누가복음, 요한복음을 말한다. ‘사복음서’라고도 한다. 마태복음, 마가복음, 누가복음은 동일한 관점에서 기록되어 ‘공관복음’이라고 불린다.
6)
홍해는 아프리카와 아시아 사이의 만이다. 북쪽은 시나이 반도와 아카바 만, 수에즈 만 (수에즈 운하와 연결됨), 동쪽은 아라비아 반도이다. 남동쪽으로 바브엘만데브 해협과 아덴 만을 통해 인도양과 연결된다.
8)
신명기 16:3
9)
유교병(有酵物, Leavened Bread)은 누룩을 넣어 만든 떡(빵)을 말한다. 화목제와 칠칠절(오순절)에 제물로 드려졌다.
12)
교회사 초대편, John William Charles Wand, 대한기독교서회, P. 121, ISBN 50000157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