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월절의 정의 - 기원과 역사, 히브리어와 역어 명칭

유월절 어린양의 피를 문설주에 바른 집은 재앙이 넘어갔다.(출애굽기 12:23~30)

유월절을 한마디로 정의하면 성경의 최대 명절로서 독립기념일에 비유할 수 있다. BC 1498년경 이집트의 지배를 받고 있던 유대인들을 위해 유일신 여호와 하나님이 제정한 절기다.

하나님의 명령대로 어린양의 피를 문설주와 상인방에 바른 집은 유월절 밤에 벌어진 죽음의 재앙이 넘어갔고, 유대인들은 이집트에서 극적으로 해방되었다. 출애굽기 12장에는 전반에 걸쳐 유월절과 엑소더스에 대한 이야기를 생생하게 다루고 있다. 이후 유월절은 이스라엘을 이집트의 압제로부터 구원하여 자유를 찾게 해준 하나님의 권능의 날로 기념되고 있다.

토라1)에 따르면, 유월절은 해마다 지켜야 할 하나님의 연간절기 중 첫 번째 절기다.2) 유월절을 지키지 않을 경우 백성에서 제거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3) 유월절 날짜는 유대력(종교력) 1월 14일과 2월 14일 저녁이다.4) 계절상으로 이른 봄에 들어 있다.

신약시대에 와서는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 유월절을 지키는 방법이 파격적으로 바뀌었다. 예수는 유월절 저녁에 제자들과 식사하는 자리에서 자신의 살과 피를 상징하는 떡과 포도주를 먹고 마시게 했다.5)

유월절은 초기 기독교에서 지켜져 내려오다가 2세기경 동〮서방 교회의 파스카 논쟁 끝에 325년 로마제국의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가 소집한 제1차 니케아 공의회를 통해 전면 폐지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으로 인해 현재 가톨릭과 개신교를 비롯한 대부분의 기독교는 유월절을 기념하지 않는다. 유대교는 나름의 유월절 전통을 이어 가정을 중심으로 지키고 있으며, 구약시대 율법대로 양을 잡아 지키는 단체는 팔레스타인의 사마리아인 공동체가 유일하다.6) 초기 기독교의 명맥을 그대로 이어 유월절을 지키는 단체는 대한민국에 거점을 둔 7)

유월절은 히브리어로 ‘פֶסַח(페사흐, peh'-sakh)’다. ‘지나가다’, ‘뛰어넘다’라는 의미의 동사 ‘פָסַח(파사흐, paw-sakh')에서 파생했다. 헬라어(고대그리스어, 희랍어) ‘πασκα(파스카, pas'-khah)’는 원어의 발음을 그대로 베낀 형태다. 한자 ‘逾越節(넘을 유, 건널 월, 절기 절)’, 영어 ‘Passover(패스오버)’도 동일하게 ‘지나다’, ‘넘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과월절(지날 過, 넘을 越, 절기 節)이라고도 한다.

하나님이 유월절을 제정하실 때 유월절을 지킨 자들은 재앙이 넘어가게 해주겠다고 약속하셨는데, 실제로 출애굽기 12장에는 유월절을 지킨 이스라엘 가정의 장자들은 죽음의 재앙에서 보호받았다는 기록이 있다.8)

‘유월절’을 각 언어별로 살펴보면, 대부분 ‘넘어가다’라는 뜻의 히브리어 ‘פֶּסַח(페사흐)’, 또는 헬라어 ‘πασκα(파스카)’에서 파생된 형태를 띠고, 한자 문화권에서도 ‘넘어가다’는 의미를 포함하여 번역했다. 다만, 오늘날 대부분의 기독교가 유월절을 지키지 않기 때문인지 ‘유대인의 절기’라는 단서가 붙기도 하고, ‘부활절’과 혼용하여 쓰이기도 한다.

각 언어별로 유월절이라는 용어는 아래와 같이 표기한다(가나다 순).

  • 네덜란드어: het Joodse Paasfeest
  • 노르웨이어: påske
  • 독일어: Pạssah•fest
  • 라틴어: Pascha(festum Iudaicum)
  • 러시아어: еврейская пасха
  • 루마니아어: Pesah
  • 몽골어: Дээгүүр өнгөрөх баяр
  • 스와힐리어: Pasaka ya Kiyahudi
  • 스웨덴어: påskhögtid
  • 스페인어: Pascua
  • 영어: Passover
  • 우크라이나어: Песах
  • 이탈리아어: pasqua ebraica
  • 인도네시아어: Paskah
  • 일본어: 過越祭(すぎこしさい)
  • 중국어: 逾越节[yúyuèjié]
  • 체코어: pesach
  • 터키어: Fısıh Bayramı, Hamursuz Bayramı
  • 페르시아어: فصح[fesh]
  • 포르투갈어: páscoa
  • 폴란드어: Pascha(święto w judaizmie)
  • 프랑스어: Pâque(juive)
  • 핀란드어: pääsiäinen
  • 한국어: 유월절[yuwoljeol]
  • 헝가리어: Páska

연관 글


1)
히브리어 토라(תּוֹרָה, Torah)는 ‘율법(Law)’이라는 의미다. 모세오경을 지칭하기도 하지만 성경 말씀을 가리키기도 한다.
2)
레위기 23:5~44
3)
민수기 9:13
4)
민수기 9:10~11
5)
마태복음 26:17~28, 마가복음 14:12~24, 누가복음 22:7~20
6)
Samaritan community in the West Bank, Public Radio International, 2011. 4. 22.https://www.pri.org/stories/2011-04-22/samaritan-community-west-bank
7)
기획특집•루터 종교개혁 500년-하나님의 교회와 성서의 진리 무엇을 믿고, 무엇을 실천하나, 월간중앙, 2017년 12월호
8)
출애굽기 12:23~30